수소 넣었다 뺐다 ‘마법’의 물질 김자헌 숭실대 교수팀, 나노다공성 물질 개발 2012년 08월 01일 |
![]() ![]() 수소는 물에서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저장이 어려워 쉽게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. 현재 수소자동차에는 수소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식이 많이 쓰이는데, 압축이 잘 되지 않아 마냥 압력을 높이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. 숭실대 화학과 김자헌 교수팀은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‘나노다공성 물질(MOF)’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. MOF는 금속과 유기물 분자가 결합된 결정 물질로 내부에 1나노미터(nm, 1nm=10억분의 1m)보다 작은 구멍이 많이 나 있다. MOF는 구멍에 수소가 잘 달라붙어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고 용기의 부피도 줄일 수 있는 물질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었다. 문제는 수소를 꺼내 쓸 때 발생한다. 달라붙어 있는 수소를 어떻게 떼어낼 것이냐는 것이다. 연구팀은 먼저 단일골격으로 이뤄진 MOF 2개를 300도로 가열한 뒤 서로 고리처럼 엮어 이중 골격 구조를 만들었다. 이 구조는 단일골격일 때보다 기체 저장에 불필요한 부분이 적어 부피를 줄일 수 있고, 표면적이 넓어 수소가 달라붙을 수 있는 공간이 커지는 등 저장 효율이 높았다. 또 연구팀은 가열 온도와 처리하는 물질에 따라 MOF의 구조가 바뀌는 현상을 확인했다. 이를 이용하면 저장용기에서 수소를 꺼내 쓸 때 용기물질의 구조를 바꿔 수소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. 김 교수는 “MOF의 구조를 원하는 대로 바꿔 수소와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물질은 새로운 개념의 수소 저장용기로 활용할 수 있다”면서 “수소 외에 질소 등 여러 종류의 기체를 저장·분리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”고 말했다. 이 연구결과는 화학 분야의 권위지 ‘앙게반테 케미’ 7월 17일자에 실렸다. ![]() ![]() 이재웅 기자 ilju2@donga.com |
'물리학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펌글]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(4) | 2013.05.05 |
---|---|
금속 빛을 받아 ‘금’으로 변하다 (0) | 2012.09.03 |
자기 무게 100배 나가는 기름도 거뜬히 먹어 치운다 (0) | 2012.04.23 |
‘걷기만 하면 전기 쑥쑥’ 상용화 가까워 (0) | 2012.03.28 |
와인 잔 돌리는 황금법칙 (0) | 2011.12.30 |